Another World, Hidden Behind Subjects Ejung Ban, Art Critic

Others by Okjoo Kang is an ongoing project that started in 2016, which features a series of photographs where the subjects are intentionally thrown out of focus. The out-of-focus photographs may seem to tie in to a single collection, but they are divided into the series Arrival and Departure (2018), Crossing (2017) and Hanami (2017), each different in the points in time they were taken and their themes. Arrival and Departure captures train stations (4 to 5 stations in Paris) where travelers arrive and depart, Crossing captures people crossing the streets in Japan, and Hanami captures people in Japan enjoying cherry blossoms. What the three series have in common are that they were shot in foreign countries and that they intentionally throw the subjects out of focus. As the subjects are not in focus, most of their identities are lost in the series, and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artist’s intentions. The biggest clue one can is from the artist’s note that says “the crushed images that exist only in certain situations and impressions” are the imagery of “others”. The photographed subjects and the three themes do not seem to take a big part in the series. Because even though the titles of the themes may be straightforward and self-explanatory, by looking merely at the photographs, it is not actually easy to figure out what their themes are. There would be no problem giving all three series the same title, People Outside. With the photographs that obscure the identity of the subjects and depict the “others” as an anonymous mass, one can assume that the actual subject of this project exists in another world.

When examined how Kang’s work develops from the first solo exhibition Objet O (2011) to the fourth solo exhibition Others (2018), the subjects and expressions differ so vastly that it is almost hard to see them as coming from one artist. The first solo exhibition featured photographs that neatly set up objects laying in Kang’s studio. The objects do not have anything in common, other than the fact that they are her belongings. As it was mentioned in an interview that the work was made because Kang “thought the objects that one owns gives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it is close to a self-portrait made from portraits of objects. It’s Pouring (2014), a series of photographs of various buckets and washbowls, is similar to Object O in that they are photographs where the numbers and compositions of the subjects were coordinated in detail. It is also similar to Others in that they physically obscured the identity of the subjects, as the photographs in It’s Pouring are graphically modified with streaks of lines. However, it is hard to figure out why the buckets were photographed or why they were filtered with noise. That is because the work follows the idioms and grammar that only the artist knows about.

Likewise, there does not seem to be much similarities between the series produced before the first solo exhibition. However, they are in line with the series made after the first show, in that most of them photographed objects of the same kind repeatedly. As in the series Gami (2010), where same-sized pieces of paper ripped from a spiral notebook are made into origami and then unfolded, Feuille Morte (2006), where maple leaves are shot on Polaroid one by one, and Someone Knock on the Door (2004- 2006), a series of long and narrow European-styled doors photographed one after another, it appears that objects that captivate Kang at the moment are captured repeatedly to project or reinforce a certain theme (“another world”) that cannot yet be fathomed.

The subjects in the series produced before the first solo exhibition was held might be objects that the artist grew interest in during the shooting or were selected because of the consistency that forms when they are photographed in repeti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 Others that Kang presents seven years later does not appear to show interest towards the “others”, which is the title. The people, or the others, that are buried away appear rather to represent Kang’s indifference to their identities. With out-of-focus photographs of a crowd,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hat they intend. As the series follow the artist’s own idioms and grammar, it is not easy for the viewers to decipher them.

Many of Kang’s series are set in foreign countries or her private space. One of their titles is One Way (2012) which implies traveling (abroad), and another series photographed only the objects she owns. According the artist’s note, Kang interprets Sartre’s book Being and Nothingness from the part “Sartre analyzes ‘the Other’ as the third structure of being” that it is less about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but more about verifying one’s own existence through the others. With this in consideration, the objects that were selected to be the subjects of her works can be seen as ones that reflect her inner self.

Object O could be a self-portrait alluded by a portrait of objects that give Kang the joy to control them however she pleases. Others could also be a self-portrait that is alluded by out-of-focus photographs that give her a sense of security with the distance assured between the camera lens and the subjects, who are foreigners that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and are an anonymous mass of “others”.

While the portraits of objects that were chosen strictly according to Kang’s own idioms and the photographs that intentionally captured scenes out of focus raised the barriers to understand her works, her website that archives her portfolio is neatly arranged in its format and design. The handwritten notes that organized the concept of her work also looks like a diagram where keywords are written in grid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rrows. Upon careful examination, however, the handwritten notes that look like an organized diagram are difficult to interpret. That is also because they follow the idioms that only the artist knows about.

Kang’s earlier works that represented “another world” of self-portrait through photographs of her belongings appear to later represent the others through the project title Others. However, it seems that it actually represents her inner self (another world) that gets a sense of relief from the safety distance between the outer world and herself.

P.S. 1. I was going to add, “It would be better if the works would not be a mere means for relief but would, in the future, leave room for the viewers to get involved with her works and her life (relationships),” but soon became hesitant. It might be an intervention on another world of hers that I don’t yet understand.

피사체에 가려진 다른 세계 반이정 미술평론가

강옥주의 타인들 『Project Others』은 2016년에 착수한 연작으로, 피사체의 초점을 고의로 맞추지 않은 사진 모음이다. 초점이 나간 여러 사진들은 얼핏 한 종류의 묶음 같지만 『Arrival and departure』(2018) 『Crossing』(2017) 『Hanami』(2017)이라는 각기 다른 시점에 각기 다른 주제로 분류되어 있다. 『Arrival and departure』는 여행자들이 당도하고 출발하는 기차역(파리의 기차역 4~5곳)을 『Crossing』은 횡단보도를 건너는 일본의 보행자들을 『Hanami』는 일본 벚꽃 놀이 풍경을 기록한 것이다. 세 연작의 공통점은 모두 국외를 촬영지로 정하고, 피사체의 초점을 고의로 흐린 사진이라는 데 있다. 초점을 잃은 피사체인 만큼 피사체의 정체성을 많은 부분 상실한 연작이며, 작가의 기획 의도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어떤 상황과 인상만으로 존재하는 뭉개진 이미지”가 ‘타인’에 대한 심상이라고 적은 작가노트가 기획 의도에 대한 최대한의 단서다. 촬영 대상이나 셋으로 분류된 주제들의 비중은 이 연작에서 그리 큰 것 같지 않다. 각 주제마다의 제목은 단정적이고 설명적이되, 정작 사진의 표면에서 제목의 내용을 쉽게 떠올릴 수 있지 않아서다. 제목이 선행되지 않았다면 실외의 사람들 정도의 제목을 세 주제 모두에 붙여도 무방할 정도다. 피사체의 정체를 모호하게 하고, ‘타인’을 익명성과 등가로 놓은 여러 사진들로부터, 이 프로젝트의 실제 피사체는 다른 세계일 거라고 추정할 수 있다.

첫 개인전 『Objet O』(2011)부터 네 번째 개인전 『Others』(2018)까지 작업의 추이를 늘어놓고 보면, 동일한 작가의 작업으로 보기 힘들 만큼 촬영 대상이나 표현법의 편차가 크다. 첫 개인전은 작업실에 있는 작가 본인의 사물들을 정갈하게 모아놓고 찍은 정물 사진들로, 정물들 사이에 연관성이라곤 작가의 소유물이라는 점 외엔 없다. “그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것들은 그 사람에 관한 많은 정보를 준다고 생각”해서 제작되었다는 진술에서 보듯, 사물 초상화에 기대어 완성한 자기 초상화에 가깝다. 『It’s Pouring』(2014)은 다양한 양동이나 대야를 촬영한 스튜디오 사진으로 피사체의 개수와 구성을 세세한 계산으로 결정한 사진이라는 점에선 『Objet O』와 닮아있고,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사진 표면에 빗줄기를 만들어 대상의 정체를 모호하게 처리한 점에선 『Others』와 닮아 있는데, 왜 양동이들이 선택되었는지, 화면의 노이즈를 넣은 이유가 뭔지는 쉽게 짐작하기 어렵다. 작업이 작가 개인만 아는 문법을 따랐기 때문이다.

첫 개인전 이전에 제작된 연작들도 공통점을 찾긴 어려우나, 동종의 대상을 반복해서 촬영한 연작들이 많은 점에서 개인전 이후의 연작들과 같은 선상에 있다. 2절 스케치북에서 뜯은 같은 사이즈의 종이를 다양한 종이접기로 늘어놓은 『Gami』 (2010), 무수한 단풍잎을 모아 한 잎씩 폴라로이드에 기록한 『Feuille morte』 (2006), 비좁고 길쭉한 유럽풍 입구 문들을 연달아 찍은 『Someone Knock on the Door』 (2004~2006)처럼, 그때마다 꽂힌 동종의 대상 하나를 반복함으로써, 당장은 짐작할 수 없는 어떤 주제(다른 세계)를 투사하거나 강화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지만 첫 개인전 이전에 피사체로 선택된 대상은 어쩌면 작가가 촬영 당시 호감을 느낀 사물일 수도 있고, 동일 대상을 반복할 때 생기는 조형적인 일관성 때문에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반면 첫 개인전 『Objet O』는 자신의 소유물을 늘어놓아 자신을 우회적으로 재현한 대체 자화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7년이 지나 내놓은 연작 프로젝트 『Others』는 제목으로 쓰인 ‘타인’에 대한 관심의 표명 같진 않다. 희미한 미지의 영역 속에 묻어버린 인물들 혹은 타인들은 그들의 정체에 대한 작가의 무관심 표명처럼 보이기도 한다. 초점이 나간 한 무리의 사진들에서 제작 의도를 파악하긴 어려운데, 이 또한 이 연작들이 작가 본인의 문법을 따르기 때문에 외부인이 판독의 실마리를 찾기에는 까다롭다.

판독의 실마리를 작업 연대기에서 찾아본다. 많은 연작들의 촬영지가 국외거나 자기 공간이었으며, 어떤 연작 제목은 숫제 여행(국외)을 암시하는 『One Way』(2012)였고, 어떤 촬영 대상은 작가 본인의 소유물에 한정했다.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를 어떻게 해석 하건, 작가 노트에 따르면 사르트르가 “존재의 세 번째 영역으로 ‘타자’를 이야기”한 것으로부터 타자와 자신 사이의 관계 맺음이 아닌, 타자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으로 작가는 해석하고 있다. 이로부터 강옥주가 택한 여하한 피사체들은 자신의 내면을 재현하는 거울로 볼 수도 있겠다.

『Objet O』는 자기 소유물을 자기 멋대로 통제하는 즐거움과 연관 있는 사물 초상화를 빗댄 자기 초상화일 수 있고, 『Others』는 언어 의사소통이 원활하기 어려운 외국인을 익명의 타인으로 설정하고, 망원렌즈로 그들과 자신 사이에서 확보된 거리감으로부터 안도감을 얻는, 초점 나간 풍경사진을 빗댄 자기 초상화일 수 있겠다.

철저히 자기 문법으로 선택된 사물 초상 사진들과 고의로 초점을 흐린 일련의 풍경 사진들이 해석의 진입장벽을 높인데 반해, 강옥주가 포트폴리오를 정리한 개인 홈페이지의 구성과 디자인은 정갈하게 체계화되어 있다. 또 종이에 육필로 정리한 작업의 개념 정리 역시 일견 체계적인 격자무늬 안에 키워드를 넣고 그들 사이를 화살표로 연결해놓아 마치 도표처럼 요약된 모습이었다. 그런데 가만히 들여다보니, 육필로 정리한, 체계적인 도표를 닮은, 그 작업 개념 정리 문건을 외부인이 독해하기엔 어려움이 많았다. 이 역시 작가 개인만이 아는 문법을 따르고 있어서다.

초기작에선 소지품 사진을 매개로 자화상이라는 숨겨진 ‘다른 세계’를 재현한 강옥주의 초기 작업은 이후 ‘타인’이라는 프로젝트명을 매개로 타인을 재현하는 것 같지만, 외부 세계와 자신 사이의 안정 거리로부터 안도감을 느끼는 내면(다른 세계)을 재현하는 것 같다.

p.s. 1. ‘자기 안도에서 멈추지 말고, 향후에는 허구의 작업과 실제의 삶(인간관계)에서 타인이 개입할 작은 실마리를 남기는 편이 낫겠다.’고 덧붙이려다가 잠시 멈칫. 내가 이해 못하는 다른 세계에 대한 간섭인가 싶어서.
p.s. 2. 작업 연보를 해독하다보니, 결국에 창작자의 내면을 진단하고 판독하는 입장에 놓이게 하는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