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September 2004, my life in France began. It was a severance from the familiar past. I needed a passage to a new world through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The physical and spatial symbol of this passage was a door (門, la porte ). The door serves not only as a border but also a mediator that enabl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separate spaces. Severance and communication, border and connection…I would like to elaborate my personal story based on this paradoxical aspect of a door.
Taking pictures of doors was part of an exploration of the daily lives of the French for me. Keeping journals of doors from a certain distance may be a confirmation of the status of a man on the border/threshold who cannot belong to their world. Nevertheless, I was knocking continually o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y taking photos of hundreds of doors everyday. My curiosity for the French behind the door made me continue to take pictures. The closed door amplified my imagination since the door does not giv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 people living behind the door. The isolation of objective information sometimes lets me look at doors from an architectural and formative perspective. I couldn’t find any doors that had the same shape and color as the others. Their shapes are as diverse as their names.
2004년 9월, 프랑스에서의 생활이 시작되었다. 그것은 익숙한 과거로부터의 단절이었다. 나는 언어적, 문화적 장벽을 뚫고 새로운 세계로 넘어가는 통로가 필요했다. 그것의 물적, 공간적 변용이 문(門, la porte)이였다.문은 경계가 되기도 하지만, 분리된 두 공간의 소통을 가능케 하는 매개자이다. 단절과 소통, 경계와 연결…이런 역설적인 문의 상징성에 기대어 나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고자 했다.
문을 사진으로 찍은 일은 프랑스 사람들의 생활에 대한 탐구의 일환이었다. 일정한 거리를 두고 문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그들의 세계에 속하지 못하는, 문 밖의 주변인 처지를 확인하는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매일 문을 수백 개씩 찍으면서 소통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노크하는(두드리는) 것이다. 그것은 문 너머의 평범한 프랑스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에 의해서 계속되었고, 닫힌 문은 상상력을 더욱 증폭시켰다. 문은 그 안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 객관적 정보의 차단은 문을 건축적, 조형적 견지에서 바라보게 해주기도 한다. 같은 형태, 같은 색의 문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들의 모습도 이름도 그만큼 다양할 것이다.